본문 바로가기
화학물질관리법

화학물질관리법(화관법) 이해하기

by 안전은 예방이 최고입니다. 2023. 3. 9.
반응형

안녕하세요?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각종 산업현장의 통합 전문성을 갖춘 컨설팅 기업 주식회사 켐메이븐입니다.

저희가 주력으로 사업 실적을 쌓고 있는 '화학물질관리법?'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려고 합니다.

화학물질관리법은 화학물질의 체계적 관리와 화학사고 예방을 통해 국민 건강 및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의 법률로써 화학물질관리법을 줄여 "화관법"이라고 칭합니다. 화학물질 취급 사업장에서는 해당 법령에 대하여 잘 이해해야 합니다.

 


목차

  • 화학물질관리법 로드맵
  • 용어 정리

화학물질관리법 로드맵

화학물질 확인

 

"화학물질"이란, 원소·화합물 및 그에 인위적인 반응을 일으켜 얻어진 물질과 자연상태에서 존재하는 물질을 화학적으로 변형시키거나 추출 또는 정제한 것을 말합니다.

화학물질 확인 단계에서는 제조 또는 수업 시 화학물질 여부를 파악하고 '화관법'에 적용되는 물질인지를 판단해야 합니다.

화학물질을 판단하는 방법은 '화학물질정보시스템(NCIS)' 입니다.

확인할 수 있는 화학물질의 유형은 금지물질 / 제한물질 / 허가물질 / 유독물질 / 사고대비물질 입니다.

 

다양한 화학물질 중 사업장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수산화나트륨을 예시로 들어보겠습니다.

 

1. 화학물질정보시스템(NCIS) 들어가기

2. 확인할 물질의 MSDS 3번(구성성분의 명칭 및 함유량)에서 CAS no.(CAS번호)를 찾아 검색하기

3. 함량 및 규제정보를 클릭하여 함량기준 확인하기

4. 취급하는 물질이 화학물질인지 판단하기

화학물질 확인 후 로드맵

화학물질로 판단된 경우, 각 카테고리별로 해야 할 업무가 있으며, 이에 대하여 요약·정리하였습니다.

 

<화학물질 기준>

1. 유독물질 : 수입신고, 배출량조사, 분류표시, 통계조사

2. 제한 / 금지물질 : 수입허가, 배출량조사, 분류표시, 통계조사

3. 허가물질 : 제조·수입·사용허가, 배출량조사, 분류표시, 통계조사

4. 사고대비물질 : 배출량조사, 분류표시, 통계조사

5. 일반화학물질 : 통계조사

 

<취급시설 기준>

1. 설치 이전 :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2. 설치 이후 : 설치검사 / 정기·수시검사 / 자체점검 / 안전진단

3. 통계조사

 

<영업자/취급자 기준>
1. 영업허가 / 안전교육 /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2. 취급시설 및 기준 준수 / 진열보관·운반계획서 제출 / 관리기준 준수(사고대비물질)

 

<세부적인 로드맵>

(※출처 : 한국환경공단 전북환경본부)

 

 

댓글